議곕( 諛쒓린遺��� 諛곕꼫
�쒖쓽�먯냼媛� 硫붾돱�대�吏�
[25635] 안녕하세요 저는 ...
[25634] 정액이 고였다 ...
[25633] 발기 및 조루
[25632] 발기유지가 어려...
[25631] 상담드립니다
[25630] 30대 발기부전 ...
[202] 만성전립선염 완치후기입니...
[201] 30대 유정증상 발기력 저...
[200] 30 후반 발기부전 치료가...
[199] 30 후반 발기부전 치료
[198] 20대 발기부전 치료후기!...


홈 아이콘 한의원소개 뷸렛 언론보도
언론보도 제목이미지
언론보도게시판 안내글
동의보감 속의 전립선 질환
198 후후한의원 2010.05.28 4599

한의사 이정택의 한방 남성의학 ⑨















이정택 한의사
남성의 가장 중요한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는 전립선 질환. 이로 인한 고통과 절실한 심정은 동서고금에 다를 바가 없을 것이다. 간단치 않은 수많은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도 많은 남성들이 지금처럼 전립선 질환에 시달렸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의보감을 비롯한 저명한 한의학의 문헌들을 살펴봐도 전립선 질환을 자세히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립선 질환을 지칭한 대표적인 한의학적 질병은 임병(淋病)이다. 임병은 주요 증상 및 원인에 따라 총 여덟 가지로 분류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잔뇨감이 남는 등의 소변 증상과 함께 하복부의 통증(小腹急痛)을 동반한다는 언급이 빠지지 않는다. 즉 소변 증상과 통증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로서, 급·만성 전립선염 및 전립선 증후군의 증상과 거의 일치한다.

과로에 의해 발생하는 노림(勞淋)
노림은 육체적 정신적인 과로로 인해 발생하며, 과도한 성생활 역시 원인에 포함된다. 성관계를 가질 때 서혜부, 회음부, 항문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사정통 역시 이 노림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성생활을 하다가 억지로 사정을 참고 정액을 내보내지 않아 발생하는 전립선의 충혈과 부종 역시 이에 해당한다. 혈림(血淋)은 소변 증상과 함께 출혈을 동반하는 경우로서, 전립선염과 함께 나타나는 혈뇨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소변을 볼 때 요도에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 혹은 음경 자체가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염증성 변화가 두드러지는 열림(熱淋)
열림(熱淋)은 급성 전립선염 혹은 만성 전립선염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성 변화가 두드러질 때 발생한다. 요도 압박이 심해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며, 소변의 색깔과 냄새가 짙어지고 간혹 혈색소뇨가 동반되기도 한다.

정서적 변화에 증상 변화가 큰 기림(氣淋)
기림(氣淋)에서는 소변 증상 및 통증과 함께 하복부의 팽만감이 강하게 느껴지며, 증상이 정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간혹 경련성의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전립선과 주변조직의 긴장 및 근육의 경결이 심한 경우이다.

결석을 동반하는 석림(石淋), 사림(沙淋)
석림(石淋)과 사림(沙淋)은 요로결석으로 인하여 각종 소변 및 통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전립선의 염증으로 이환되기 쉬우며, 전립선 석회화(전립선결석)를 동반할 수 있다. 간혹 응급조치를 요하는 극심한 통증을 수반하기도 한다.

우윳빛 전립선 분비액을 동반하는 고림(蠱淋)
고림(蠱淋)에서는 전립선의 염증으로 인해 소변이 비정상적으로 탁해지고 농 및 점액이 소변을 통해 반복적으로 배출된다. 전립선의 화농성 혹은 점액성 염증 반응이 만성화된 경우이다. 흔히 소변 마무리에 우윳빛 분비액을 동반하는 모닝드롭 현상도 고림에 해당된다.

추운 날씨에 심해지는 냉림(冷淋)
냉림(冷淋)에서는 소변을 볼 때마다 전신적인 오한 및 경련이 일어나고 소변통과 빈뇨가 나타난다. 본래 몸이 차고 말초순환이 잘 안 되는 체질의 환자가 전립선염에 이환되었을 때 자주 발생하고, 날씨가 추워지면 소변 회수가 두드러지게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

한의학적으로 임병이 전립선염과 관련이 깊다면, 전립선비대증과 유사한 증상으로 융폐(癃閉)를 들 수 있다. 융폐 중 폐(閉)는 갑자기 소변이 막히는 경우이며, 융(癃)은 이러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오래 된 경우이다. 특히 노인의 융폐증을 소개하면서 일반적인 경우와 진단 및 치료법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는 전립선비대증 혹은 전립선암의 증상에 해당된다.

이외에도 산증(疝症), 소변불리(小便不利), 백음(白淫) 등에서 전립선 질환과 유사한 증상군을 발견할 수 있다. 똑같은 전립선 질환이라 해도, 그 형태와 원인에 따라 한의학적으로는 다양한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전립선염의 경우 처음에는 비슷하게 세균 감염으로 시작되었다 해도 만성화된 이후에는 환자마다 나타나는 증상이 전혀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한 부분에 주안점을 두어 각 환자에 맞는 정교한 치료를 시행한다면 발병 전의 상태로 회복하는 것도 결코 어렵지 않다.

한의사 이정택
조루증의 한의학적 원인
조루증, 갑자기 나빠졌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