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은 인체가 위험한 상황에서 생존하는데 적합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존재한다.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하는 경우 사람은 마치 당장이라도 누군가와 싸우는 것처럼, 생존을 위협당하고 있는 상태에 빠진 것처럼 행동하게 된다. 중추성(일차성) 조루 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교감신경이 만성적으로 흥분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항상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민감하여 조급하고 초조해하는 경향이 있다. 남들보다 부끄러움을 잘 느끼고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입장이 되면 당황하여 안면홍조가 쉽게 나타나기도 하며, 맥박이 빠르고 심계항진(가슴두근거림)과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교감신경의 지나친 흥분은 성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부교감신경은 성적으로 흥분했을 때 성기에 혈액을 이동시키고, 동맥으로 유입된 혈액이 정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발기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반면에 교감신경은 사정을 유발하여 음경을 채웠던 혈액이 정맥으로 빠져나가게끔 하여 발기를 중단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자율신경계에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견제하는 길항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항시 교감신경이 지나친 흥분을 보이는 경우 그만큼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억제되는 셈이다. 다시 말해서 발기 상태를 가능한 한 빨리 해소하여 사정을 하게 만드는 것이 본래 교감신경의 역할이며, 이 결과로 조루 증상이 발생한다.
청신환(淸神丸)은 불필요하게 항진된 교감신경을 진정시키는 한약재로 구성된 처방이다. 교감신경이 억제되면 그만큼 부교감신경이 항진되기 때문에 사정 역시 지연되고 발기 상태가 보다 오래 유지되어 자연스럽게 조루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맥박이 느려지고 심계항진과 불면증이 차츰 사라지며 평소의 조급하고 예민하던 경향도 누그러지는 등 전신적으로 양호한 반응이 나타난다. 조루, 특히 중추성 조루는 결코 생식기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